The artificial skylight that you won’t believe isn’t real

The artificial skylight that you won’t believe isn’t real

 

이정도 조명이면 끊임없이 눈을 의심하며 천창을 올려다 볼 듯 합니다. 측정할 수는 없지만, 자연광 아래서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 풀리는 기분까지도 느낄 수 있다는 개발자의 자신감 또한 눈에 띱니다.maxresdefault

 

특히 흥미로운 제시는 이제 이 조명만 쓰면 Skyscraper라는 개념을 무너뜨리릴 가능성이 있는 Earthscraper라는 새로운 대안 제시인데… 설마 그렇게까지 되지를 바래지는 않지만, 여러 건축에서의 제약사항을 풀 수 있는 좋은 기술인 듯 합니다.The_artificial_skylight_that_you_wont_believe_isnt_real__196937

 

그나저나, 푸른빛 강한 느낌은 이해가 되는데, 저 선명한 그림자는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B9zPayGIMAAIWiP

오늘 밤 저 달이, 내 평생에 볼 수 있는 가장 큰 달

오늘 밤 저 달이, 내 평생에 볼 수 있는 가장 큰 달

지구의 자전이 늦어진다거나, 그로인해 달이 지구로부터 조금씩 멀어진다거나, 지구는 달처럼 자전을 멈추고, 지구의 절반이 영구음영이 지고, 그런 지구를 달이 영영 떠나간다는 이야기들…. 그런 것들이 75억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에 일어난다고 시간의 포장에 사이면, 먼 동화같은 이야기로 들리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달이 매년 3.8cm 씩 지구로 부터 멀어지고 있으며, 매일 밤 내가 보는 달이 내 평생에 볼 수 있는 가장 큰 달이라는 점은 다른 감상을 갖게 한다. 이 이유는 무엇일까.

 

Moon Phases

Every night, the moon shows a different face in the night sky. On some nights we can see its entire face, sometimes it’s partial, and on others it isn’t visible at all. These phases of the moon aren’t random — they change throughout the month in a regular and predictable way.

As the moon travels in its 29-day orbit, its position changes daily. Sometimes it’s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sometimes it’s behind us. So a different section of the moon’s face is lit up by the sun, causing it to show different phases.

Over the billions of years of the moon’s existence, it has moved farther away from the E­arth, and its rate of rotation has also slowed. The moon is tidally locked with the Earth, which means that the Earth’s gravity “drags” the moon to rotate on its axis. This is why the moon rotates only once per month and why the same side of the moon always faces the Earth.

moon-8

moon_phases_diagram

Tides

Every day, the Earth experiences tides, or changes in the level of its oceans. They’re caused by the pull of the moon’s gravity. There are two high tides and two low tides every day, each lasting about six hours.

The moon’s gravitational force pulls on water in the oceans and stretches the water out to form tidal bulges in the ocean on the sides of the planet that are in line with the moon. The moon pulls water on the side nearest it, which causes a bulge toward the moon. The moon pulls on the Earth slightly, which drags the Earth away from the water on the opposite side, making another tidal bulge there. So, the areas of the Earth under the bulge experience high tide, while the areas on the thin sides have low tide. As the Earth rotates underneath the elongated bulges, this creates high and low tides about 12 hours apart.

The moon also stabilizes the Earth’s rotation. As the Earth spins on its axis, it wobbles. The moon’s gravitational effect limits the wobble to a small degree. If we had no moon, the Earth might move almost 90 degrees off its axis, with the same motion that a spinning top has as it slows down.

 

TidestidalTidal movements on Earthgravitational-pull-of-moon-on-atmosphere-on-full-moon-night-perigee-moon-may-29-2012-204-pm-edt-the-idea-girl-says

지구의 자전이 느려지고 있다.

 1960년대 미국의 고생물학자 존 웰스는 고생대 산호 화석을 연구하다가 기묘한 점을 발견했다. 산호 화석의 성장선 개수가 현생 산호에 비해 너무 많았던 것이다. 성장선은 산호나 조개 등의 생물이 성장함에 따라 골격에 생기는 일종의 나이테로, 하루에 약 한 개씩 생성된다. 또 계절에 따라 그 성장속도가 달라 성장선 사이의 간격을 통해 1년 단위로 확인이 가능하다. 4억 년 전에 살았던 산호에는 1년에 약 400개의 성장선이, 3억 년 전에 살았던 산호는 1년에 390개의 성장선이 있었다. 성장선이 줄어든다는 것은 1년의 날수도 계속 줄어든다는 의미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즉 1년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1년의 날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곧 ‘하루’가 길어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하루의 길이를 논하려면 먼저 ‘하루’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많은 이들이 하루는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하루는 자오선, 즉 하늘에 그은 천체가 지나는 가상의 선을 한 천체가 두 번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태양이 남중했다가 다시 남중할 때까지의 시간이 하루다. 하루의 길이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다. 지구와 태양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지 않고 거리 변화에 따라 공전 속도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하루의 길이는 23시간 59분 38초~24시간 00분 30초로 조금씩 변한다. 이렇게 변화하는 시간을 평균 낸 값이 약 24시간, 우리가 알고 있는 ‘하루’다. 앞서 말한 산호 화석의 예를 보자. 3억 년 전 석탄기 산호에는 390개의 성장선이 있었고, 이는 당시 1년이 약 390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산해보면 당시 하루는 약 22시간 30분, 4억 년 전 데본기 데본기의 하루는 22시간 정도다. 이 추세라면 그보다 몇십억년 거슬러 올라간 과거의 하루는 굉장히 짧아진다.
실제로 20억 년 전 지구의 하루는 약 11시간, 지구 탄생 당시에는 하루가 고작 4시간 정도로 지금보다 훨씬 짧다. 그럼 왜 지구의 하루는 점점 길어질까? 지구의 자전 속도가 점점 느려지기 때문이다. 지구의 자전 속도를 느려지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달 때문에 발생하는 ‘기조력’이라는 힘이다. 달과 지구 사이에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한다. 또한 두 천체는 둘 사이의 질량중심을 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심력이 발생한다. 지구 중심에선 달의 인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지만 달과 가장 가까운 쪽과 가장 먼 쪽은 힘의 균형이 깨어진다. 달과 가까운 면은 인력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멀어질수록 인력보다 원심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인력과 원심력의 합력으로 지구 바닷물을 끌어당기고 조수 간만의 차를 만드는데 이 힘을 기조력이라고 한다.
기조력이 생겨 부풀어 오른 바닷물에 다시 달의 인력이 작용하면, 바닷물은 지구 자전 반대방향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 힘이 지구 자전 속도가 점점 느려지게 하는 주된 이유다. 지구 자전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지구의 하루 길이는 10만년에 1초 정도씩 늘어나고 있다. 이 계산대로라면 3억 6천만년 뒤에는 하루가 25시간이 된다. 그리고 75억년 뒤에는 지구 자전이 완전히 멈추게 될 것이다.
 94579-004-2DF826EC

이렇게 자전 속도가 느려지면 하루 길이가 늘어나는 것 뿐 아니라, 달도 멀어진다.
 1969년 8월~1989년 4월까지 20년에 걸쳐 지구와 달 사이 거리를 레이저로 측정한 결과, 달이 1년에 3.8cm씩 멀어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현상은 지구의 자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줄어드는 각운동량주1만큼 달의 각운동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실제로 과학자들이 계산한 결과, 45억 년 전 지구가 갓 탄생했을 때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24만km에 불과했다고 한다. 현재 38만km인 걸 감안하면 45억년 동안 14만km나 이동한 셈이다.
달이 멀어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우선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을 볼 수 없게 된다. 개기일식은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가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400배, 태양 크기가 달 400배라는 기막힌 우연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이 추세대로 달이 계속 이동한다면 지구-달-태양 사이의 거리와 겉보기 크기 균형이 깨져 4억 6천만년 뒤에는 부분일식이나 금환식 밖에 일어나지 않는다. 그 뿐 아니다. 달이 멀어지면 밀물썰물의 강도가 약해져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줄 것이다. 특히 얕은 바다에 사는 어패류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밤이 지금보다 훨씬 깜깜해져 인간을 포함한 생물들의 분포나 생활 주기도 많이 달라질 것이다. 또 달이 멀어져 인력이 줄어들면 태양이나 다른 태양계 행성들의 인력이 상대적으로 커져 지구의 공전 궤도가 변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공전 궤도가 달라지면 지구에 일어날 변화는 상상할 수 없이 커진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과학자들은 40~50억년 뒤에는 달과 지구 사이의 힘이 균형을 이뤄 더 이상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일은 없을 거라고 추측한다. 짧게는 1만~10만년, 크게는 50억년에 달하는 시간동안 자전 속도가 느릿느릿 변한다고 당장 하루가 변할 리는 없다.
100년을 꼬박 다 산다고 해도 내가 경험하는 하루의 길이는 겨우 0.001초 차이 날 뿐이다. 그러나 시간을 바라보는 눈과 마음을 조금 바꾸는 것만으로도 삶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오늘 하루쯤은 달을 바라보며 시간의 의미를 새겨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글 : 김은영 과학전문 기자)
주1) 각운동량은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량으로 물체의 질량과 속도, 회전 운동 반지름을 곱한 양으로 표시한다. 각운동량은 일정하게 보존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가 바뀌면 운동 반지름도 따라서 변한다. 지구와 달의 경우 두 천체의 총 운동에너지는 보존되므로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지면서 줄어드는 각운동량만큼 달의 각운동량이 증가한다. 이는 달의 운동 반지름이 커지는, 즉 달이 멀어지는 현상을 불러온다.
from
H.264 profiles and levels

H.264 profiles and levels

 

H.264 Profiles

The standard includes the following seven sets of capabilities, which are referred to as profiles, targeting specific classes of applications:

  • Baseline Profile (BP): Primarily for lower-cost applications with limited computing resources, this profile is used widely in videoconferencing and mobile applications.
  • Main Profile (MP): Originally intended as the mainstream consumer profile for broadcast and storage applications, the importance of this profile faded when the High profile was developed for those applications.
  • Extended Profile (XP): Intended as the streaming video profile, this profile has relatively high compression capability and some extra tricks for robustness to data losses and server stream switching.
  • High Profile (HiP): The primary profile for broadcast and disc storage applications, particularly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applications (this is the profile adopted into HD DVD and Blu-ray Disc, for example).
  • High 10 Profile (Hi10P): Going beyond today’s mainstream consumer product capabilities, this profile builds on top of the High Profile—adding support for up to 10 bits per sample of decoded picture precision.
  • High 4:2:2 Profile (Hi422P): Primarily targeting professional applications that use interlaced video, this profile builds on top of the High 10 Profile—adding support for the 4:2:2 chroma subsampling format while using up to 10 bits per sample of decoded picture precision.
  • High 4:4:4 Predictive Profile (Hi444PP): This profile builds on top of the High 4:2:2 Profile—supporting up to 4:4:4 chroma sampling, up to 14 bits per sample, and additionally supporting efficient lossless region coding and the coding of each picture as three separate color planes.

In addition, the standard contains four additional all-Intra profiles, which are defined as simple subsets of other corresponding profiles. These are mostly for professional (e.g., camera and editing system) applications:

  • High 10 Intra Profile: The High 10 Profile constrained to all-Intra use.
  • High 4:2:2 Intra Profile: The High 4:2:2 Profile constrained to all-Intra use.
  • High 4:4:4 Intra Profile: The High 4:4:4 Profile constrained to all-Intra use.
  • CAVLC 4:4:4 Intra Profile: The High 4:4:4 Profile constrained to all-Intra use and to CAVLC entropy coding (i.e., not supporting CABAC).

As a result of the Scalable Video Coding extension, the standard contains three additional scalable profiles, which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the H.264/AVC profile for the base layer (2nd word in scalable profile name) and tools that achieve the scalable extension:

  • Scalable Baseline Profile: Primarily targeting video conferencing, mobile, and surveillance applications, this profile builds on top of a constrained version of the H.264/AVC Baseline profile to which the base layer (a subset of the bitstream) must conform. For the scalability tools, a subset of the available tools is enabled.
  • Scalable High Profile: Primarily targeting broadcast and streaming applications, this profile builds on top of the H.264/AVC High Profile to which the base layer must conform.
  • Scalable High Intra Profile: Primarily targeting production applications, this profile is the Scalable High Profile constrained to all-Intra use.
BASELINE EXTENDED MAIN HIGH HIGH 10 HIGH 4:2:2 HIGH 4:4:4PREDICTIVE
I AND P SLIC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B SLICES No Yes Yes Yes Yes Yes Yes
SI AND SP SLICES No Yes No No No No No
MULTIPLE REFERENCE FRAM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IN-LOOP DEBLOCKING FILTER Yes Yes Yes Yes Yes Yes Yes
CAVLC ENTROPY CODING Yes Yes Yes Yes Yes Yes Yes
CABAC ENTROPY CODING No No Yes Yes Yes Yes Yes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Yes Yes No No No No No
ARBITRARY SLICE ORDERING (ASO) Yes Yes No No No No No
REDUNDANT SLICES (RS) Yes Yes No No No No No
DATA PARTITIONING No Yes No No No No No
INTERLACED CODING (PICAFF, MBAFF) No Yes Yes Yes Yes Yes Yes
4:2:0 CHROMA FORMAT Yes Yes Yes Yes Yes Yes Yes
MONOCHROME VIDEO FORMAT (4:0:0) No No No Yes Yes Yes Yes
4:2:2 CHROMA FORMAT No No No No No Yes Yes
4:4:4 CHROMA FORMAT No No No No No No Yes
8 BIT SAMPLE DEPTH Yes Yes Yes Yes Yes Yes Yes
9 AND 10 BIT SAMPLE DEPTH No No No No Yes Yes Yes
11 TO 14 BIT SAMPLE DEPTH No No No No No No Yes
8×8 VS. 4×4 TRANSFORM ADAPTIVITY No No No Yes Yes Yes Yes
QUANTIZATION SCALING MATRICES No No No Yes Yes Yes Yes
SEPARATE CB AND CR QP CONTROL No No No Yes Yes Yes Yes
SEPARATE COLOR PLANE CODING No No No No No No Yes
PREDICTIVE LOSSLESS CODING No No No No No No Yes
BASELINE EXTENDED MAIN HIGH HIGH 10 HIGH 4:2:2 HIGH 4:4:4PREDICTIVE

H.264 Levels

LEVEL NUMBER MAX MACROBLOCKS PER SECOND MAX FRAME SIZE (MACROBLOCKS) MAX VIDEO BIT RATE (VCL) FOR BASELINE, EXTENDED AND MAIN PROFILES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PROFILE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10 PROFILE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4:2:2 AND HIGH 4:4:4 PREDICTIVE PROFILES EXAMPLES FOR HIGH RESOLUTION @
FRAME RATE
(MAX STORED FRAMES)
IN LEVEL
1 1485 99 64 kbit/s 80 kbit/s 192 kbit/s 256 kbit/s 128×96@30.9 (8)
176×144@15.0 (4)
1B 1485 99 128 kbit/s 160 kbit/s 384 kbit/s 512 kbit/s 128×96@30.9 (8)
176×144@15.0 (4)
1.1 3000 396 192 kbit/s 240 kbit/s 576 kbit/s 768 kbit/s 176×144@30.3 (9)
320×240@10.0 (3)
352×288@7.5 (2)
1.2 6000 396 384 kbit/s 480 kbit/s 1152 kbit/s 1536 kbit/s 320×240@20.0 (7)
352×288@15.2 (6)
1.3 11880 396 768 kbit/s 960 kbit/s 2304 kbit/s 3072 kbit/s 320×240@36.0 (7)
352×288@30.0 (6)
2 11880 396 2 Mbit/s 2.5 Mbit/s 6 Mbit/s 8 Mbit/s 320×240@36.0 (7)
352×288@30.0 (6)
2.1 19800 792 4 Mbit/s 5 Mbit/s 12 Mbit/s 16 Mbit/s 352×480@30.0 (7)
352×576@25.0 (6)
2.2 20250 1620 4 Mbit/s 5 Mbit/s 12 Mbit/s 16 Mbit/s 352×480@30.7(10)
352×576@25.6 (7)
720×480@15.0 (6)
720×576@12.5 (5)
3 40500 1620 10 Mbit/s 12.5 Mbit/s 30 Mbit/s 40 Mbit/s 352×480@61.4 (12)
352×576@51.1 (10)
720×480@30.0 (6)
720×576@25.0 (5)
3.1 108000 3600 14 Mbit/s 17.5 Mbit/s 42 Mbit/s 56 Mbit/s 720×480@80.0 (13)
720×576@66.7 (11)
1280×720@30.0 (5)
3.2 216000 5120 20 Mbit/s 25 Mbit/s 60 Mbit/s 80 Mbit/s 1280×720@60.0 (5)
1280×1024@42.2 (4)
4 245760 8192 20 Mbit/s 25 Mbit/s 60 Mbit/s 80 Mbit/s 1280×720@68.3 (9)
1920×1088@30.1 (4)
2048×1024@30.0 (4)
4.1 245760 8192 50 Mbit/s 50 Mbit/s 150 Mbit/s 200 Mbit/s 1280×720@68.3 (9)
1920×1088@30.1 (4)
2048×1024@30.0 (4)
4.2 522240 8704 50 Mbit/s 50 Mbit/s 150 Mbit/s 200 Mbit/s 1920×1088@64.0 (4)
2048×1088@60.0 (4)
5 589824 22080 135 Mbit/s 168.75 Mbit/s 405 Mbit/s 540 Mbit/s 1920×1088@72.3 (13)
2048×1024@72.0 (13)
2048×1088@67.8 (12)
2560×1920@30.7 (5)
3680×1536/26.7 (5)
5.1 983040 36864 240 Mbit/s 300 Mbit/s 720 Mbit/s 960 Mbit/s 1920×1088@120.5 (16)
4096×2048@30.0 (5)
4096×2304@26.7 (5)
LEVEL NUMBER MAX MACROBLOCKS PER SECOND MAX FRAME SIZE (MACROBLOCKS) MAX VIDEO BIT RATE (VCL) FOR BASELINE, EXTENDED AND MAIN PROFILES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PROFILE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10 PROFILE MAX VIDEO BIT RATE (VCL) FOR HIGH 4:2:2 AND HIGH 4:4:4 PREDICTIVE PROFILES
적이 안 보인다, 누구와 싸워야 하는가

적이 안 보인다, 누구와 싸워야 하는가

적이 안 보인다, 누구와 싸워야 하는가

[토요판] 박성민의 2017 오디세이아

 

2000년대는 관료의 시대다. 그다음 자리는 재벌이 차지했다. 경제가 정치를 지배하는 시대가 열렸다. 그리고 또 하나의 파워그룹, 법조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최고, 최후의 판단자다. 일러스트 장광석

[토요판] 박성민의 2017오디세이아 ② 누가 결정하는가?-권력이동

▶박성민 정치 컨설턴트. 1991년 설립한 ‘민(MIN) 컨설팅’ 대표. 30년간 정치를 현장에서 관찰하고 수많은 선거를 이끌었다. 전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승리를 위한 캠페인 방법을 몸으로 익혔다. 세계 최고의 전략컨설팅 회사를 꿈꾼다. 생각이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가 민주주의라고 믿고 있다. ‘힘든 일은 있어도 나쁜 일은 없다’는 인생관으로 버틴다. 책과 영화, 커피를 사랑하며 걷는 것을 즐긴다. ‘2017 오디세이아’를 통해 차기 대선을 향한 여정을 독자들과 함께한다. 격주 연재.

‘정치적 문제는 해결할 수 없고,
경제적 문제는 이해할 수 없다’
-데이비드 흄

세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세 가지 중 하나다. 원인도 알고 해결책도 아는데 실행하지 않는 경우, 원인은 아는데 해결책은 모르는 경우, 그리고 원인도 모르는 경우다. 우리는 합계 출산율 1.19의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인구를 유지하는 합계 출산율은 2.1이다.) 내수를 키워 무역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까?(국내외의 전문가들이 해결책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하지만 지표는 점점 악화되고 있다.) 증세 없이 복지 재원을 마련할 수 있을까?(온갖 방법으로 쥐어짜면서도 언제까지 증세라는 단어를 숨길 수 있을까.) 공무원 연금은 정말 개혁할 수 있을까?(공무원들의 임금 기준이 100인 이상의 민간사업장인데 한국에서 100인 이상의 기업이면 중견기업 아닌가. 일본은 기준이 50인 이상 사업장이다.) 낙수 효과(트리클다운)는 여전히 작동하는가?(1975년과 2013년을 비교하면 국민소득에서 가계소득의 비중은 79.2%에서 61.2%로 줄고, 기업은 9.3%에서 25.7%로 늘었다. 1995년에는 70.6%였고 2012년에는 62.3%였으니까 계속 줄고 있는 것이다. 기업소득은 1995년에는 16.6%였는데 2012년에는 23.3%였으니 계속 늘고 있는 것이다. 1995년에서 2012년 사이 기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가계소득은 71.9%에서 67.7%로 줄고, 기업소득은 16.6%에서 18.2%로 늘었다. 우리가 가계소득은 더 많이 줄고 기업소득은 더 많이 늘었다.) 가계소득의 양극화는 해결할 수 있을까?(김낙년 동국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상위 10%가 48.5%를 가져가고, 하위 40%는 2.05%를 가져간다. 하위 70%로 확대해도 18.87%에 불과하다. 2010년 자료니까 추세로 보건대 더 악화되었을 것이다.) 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꾸면 사교육을 잡을 수 있을까?(엄마들은 수학학원만 돈 벌게 됐다고 단언한다.) 국가 재정은 괜찮은 걸까?(일반정부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9.6%에 불과하지만 공기업 부채를 포함하면 62.9%로 치솟는다.) 좋은 일자리(임금 높은 정규직)를 정말 늘릴 수 있을까?(모든 선진국 정치인들의 가장 큰 거짓말이다. 세계 경제가 글로벌화되고 기술 혁신이 빨라지면서 선진국 중산층의 일자리는 개도국으로 빠르게 이동했고 그 혜택은 국내의 소수에게 돌아갔다. 한국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중산층은 빠르게 몰락하고 있다.) 이런 질문은 끝도 없다. 과연 원자력발전소는 안전한가? 가계부채는 관리 가능한가? 관피아는 척결 가능한가? 낙하산 인사는 없어질 것인가? ‘국민안전처’는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을까? …

반독재시대는 적이 누군지를
확인할 수 있는 칼싸움의 시대
지금은 적이 누구인지,
어디서 공격하는지 알 수 없는
테러의 시대요 드론의 시대다정치인에 대한 유권자 힘보다
유권자에 대한 관료의 힘이
훨씬 커졌는데 이를 통제하는
정치의 힘은 점점 약해진다
정치인은 그럴 힘이 없어졌다

 

개혁의 대상은 점점 강해지고 있다
수많은 전문가들이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내놓았는데 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 걸까? 물론 더 많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도 사실이다. 불가능할 줄 알았던 쓰레기 종량제도 하고 있고, 버스도 빠르고 질서 있게 중앙차로로 달리고 있다. 대통령도 직접 뽑는다. 기대 수명도 크게 늘었고, 교통사고 사망률도 줄었다.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식물국회’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지만 치고받는 ‘동물국회’보다야 낫지 않은가? 흡연율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의 사전엔 만족이란 없다. 우리가 만족할 줄 알았다면 여기까지 오지도 못했다. ‘불만’과 ‘분노’야말로 한국인의 높은 민도를 보여주는 척도다. 그 힘으로 산업화의 험산과 민주화의 준령을 넘었다. 그 계곡에 얼마나 많은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는지 남들은 몰라도 우리는 안다.그러나 앞으로는 개혁이 훨씬 어려워질 것이다. 산업화, 민주화가 ‘기적’이라고 불릴 만큼 어려운 일이었음은 분명하지만 기득권의 양과 질에서는 지금보다 훨씬 약했다. 지금은 문제의 원인도 알고 해결책이 있다고 해도 기득권의 저항 때문에 실행을 할 수가 없다. 더 암울한 것은 개혁 대상의 힘은 점점 강해지고 개혁 주체의 힘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개혁의 대상을 아는 것조차 더 어려워질 것이다.문제를 해결하려면 싸워야 할 적이 누구인가를 알아야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분노의 주체는 광장으로 나오기 때문에 잘 보이지만 분노의 대상은 꼭꼭 숨어들어 잘 보이지 않는다.

‘군인의 시대’였던 1980년대는 분노의 대상이 분명했다. 누구와 싸워야 하는지, 왜 싸워야 하는지,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가 분명했다. 단지 용기만 있으면 충분했다. 가장 힘이 센 사람과 가장 자주 보는 사람과 가장 분노해야 할 사람이 같았으니까……. 반독재 투쟁이 쉬웠던(?) 이유다. 전선에서 이탈해 군인에게 포섭되는 순간 ‘어용’ 교수가 되고 ‘사쿠라’ 야당이 되었다. 대통령도 군 출신이고 집권당의 대표도 군 출신이던 시대였다. 정부의 장관들과 집권당의 간부들도 군 출신이 실세였다. 국회의원이나 공기업의 장, 심지어는 대사도 군 출신이 맡던 때였다. 무소불위의 군인들 앞에 모두가 숨을 죽이던 시대였다. 이때 대한민국을 이끌던 파워그룹은 군인, 관료, 재벌의 순서였고 정치인은 끝자리에 겨우 자리잡았다.

1990년대는 ‘정치인의 시대’였다. 1993년 문민정부인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자 지난 30년간 대한민국을 통치했던 군인들은 과거의 위세는 짐작도 할 수 없을 만큼 무기력했다. 전두환의 연희동 골목에서의 저항(?)을 끝으로 순식간에 몰락했다. 군인의 자리를 차지한 것은 3김을 필두로 한 정치인이었다. 그 뒤를 이어 관료들과 재벌들은 영향력을 더 확대했고, 그리고 남은 한 자리는 ‘언론’이 차지했다. 가히 1990년대는 언론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기업을 망하게 할 수도 있고, 대통령도 만들 수 있다고 스스로 믿던 시대였다. 아마도 대부분의 언론이 이때가 전성기였으리라. 대한민국을 이끌고 있다는 자부심이 대단했다.1990년대가 정치인, 혹은 정치의 시대였다면 그것은 네 가지 조건 때문이었다. 첫째,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들이 정치를 이끌었다. 둘째, 경쟁 체제였다. 1988년부터 1997년까지 짧은 기간이었지만 여러 정당이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인물, 정책, 혁신의 경쟁을 했다. 셋째, 정치권에 돈이 돌았다. 합법, 불법 가리지 않고 엄청난 돈이 흘러들어왔다. 넷째, 지지자들과 강력하게 조직적으로 결합되어 있었다. 지구당을 중심으로 막강한 동원력을 구축하고 있었다. 삼손이 머리카락을 잘리자 힘을 잃었듯 정치도 2000년대 들어 지도자, 경쟁 체제, 돈, 조직을 잃자 힘도 잃었다.

선출되지 않은 권력, 사법의 정치화
글로벌화와 기술혁신을 강제적으로 앞당긴 계기였던 1997년의 외환위기는 대한민국의 세력 판도를 또 한번 바꿔 놓았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정치·경제 문제의 대부분은 외환위기 이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파워그룹의 신질서가 만들어낸 것이다. 신질서의 패권은 누가 차지했을까? 나는 관료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고 본다. 그들이 그 자리를 원하지 않았을지는 몰라도 어쨌든 정치가 힘을 잃자 자연스럽게 그 자리를 차지했다.

2000년대는 ‘관료의 시대’다. 그다음 자리는 재벌이 차지했다. 이들 역시 패권에 그리 관심 있지 않았으나 외환위기 이후 정치의 힘이 10분의 1로 줄어들고 기업의 힘이 10배로 커지자 자연스럽게 역전되었다. 정치가 경제를 지배하던 시대가 끝나고 경제가 정치를 지배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2000년대 들어 파워그룹에 새로운 세력이 등장했다. 법원, 헌법재판소, 검찰, 그리고 로펌을 포괄하는 ‘법조’가 그들이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최고, 최후의 판단자다. 스스로 그렇게 말하고 그렇게 믿고 있다. 실제로 자신들이 손으로 직접 뽑은 권위에도 승복하지 않는 사람들조차 사법적 권위에는 승복할 수밖에 없다고 받아들인다. 고소, 고발을 남발하고 걸핏하면 헌법재판소로 달려가는 정치의 사법화가 결국 사법의 정치화를 만들었다.

결국 2015년 현재 대한민국의 의사결정의 패권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에 의해 장악되었다. 선출된 권력인 정치는 다시 끝자리로 밀려났다.조지프 나이는 <권력의 미래>에서 오늘날 ‘전쟁이 사유화’되었다고 통찰했다. 국가 간의 전면전이 아닌 알카에다, 이슬람국가(IS), 오사마 빈 라덴과 같은 비국가적 행위자(테러 집단)에 의한 전쟁을 ‘사유화된 전쟁’으로 묘사한 것이다. 그런데 전쟁만 사유화되었을까? 권력도 시장도 점점 사유화(독점)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슬로베니아 출신의 세계적인 철학자인 슬라보이 지제크는 ‘자본주의가 민주주의와 이혼하려는 것’을 자본주의 위기의 핵심으로 지적했다. 그는 ‘자본주의가 민주주의를 밀어왔지만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은 더 이상 민주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암울하게 진단했다. 그는 민주적으로 인준받지 않은 ‘테크노크라트’들이 모든 결정을 내리는 자본주의 현실을 고발한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를 쓴 마이클 샌델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도 ‘돈으로 사는 시대’가 되었다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반독재 투쟁보다 반독점 투쟁이 더 어렵다. 가장 힘이 센 자와 가장 자주 보는 자와 가장 분노해야 할 대상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누구와 싸워야 하는지, 왜 싸워야 하는지,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알기가 쉽지 않다. 적이 안 보이는 시대다. 반독재 시대가 적이 누군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칼싸움의 시대였다면 지금은 적이 누구인지, 어디서 공격하는지 알 수 없는 ‘테러의 시대’요 ‘드론의 시대’다. 보수·진보 할 것 없이 모든 엘리트들이 다 포섭되었기 때문에 ‘어용’도 없고 ‘사쿠라’도 없다.

관료들과 기업의 결탁인 ‘관피아’는 결코 척결되지 않을 것이다. ‘김영란법’도 원안대로 통과되지 못할 것이다. ‘법’도 사실상 관료들이 만들고 그 법이 실질적 효력을 갖게 하는 ‘시행령’도 관료들이 만드는 나라에서 기업과 공무원, 그리고 로펌의 결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뿌리 깊고 광범위하다. 이권이 있는 곳에 규제가 있고, 규제가 있는 곳에 권력이 있다. 그러나 불행한 사실은 관료, 재벌, 법조 누구도 자기들이 이 나라를 끌고 가고 있다는 자각이 약하다는 것이다. 관료들은 자기 부처의 이해를 중심으로 사고하기 때문에 국가를 책임진다는 전략적 사고를 하기가 쉽지 않다. 기업과 법조도 마찬가지다. 군인과 정치인은 그래도 전략적 사고에 능하고 대한민국의 운명을 자기들이 결정한다는 시대적 소명의식도 어느 정도 있었다. ‘국가 개조’라 부를 만한 개혁은 군인과 정치인이 이끌던 시대에 이루어졌다. 지금은 그런 자각을 가진 정치인을 거의 볼 수 없지만….

아, 세금 뜯어먹는 구조!
대한민국은 ‘국가주의’의 강한 지배를 받는 나라다. 사실상 전쟁 중인 나라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뉴스가 하루도 빠지지 않고 나온다. 김정은의 모습과 미사일을 앞세운 북한군의 열병식 장면도 거의 매일 본다. 사드 배치나 킬 체인 구축이 뉴스를 뒤덮는 상황이니 전작권 재연기는 별다른 논쟁도 없이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일본이 후텐마 미공군기지 이전을 싸고 미국과 멱살잡이라도 한 것과 비교해 보면 놀라운 일이다. 사실 대한민국은 조금 심하게 말하면 모두가 ‘세금 뜯어먹는 구조’다. 정당도 운영 자금의 대부분을 국고보조금에 의존한다. 언론도 정부로부터 수백억원의 지원을 받는 통신사에, 지상파 방송사는 주파수를 거의 공짜로 쓴다. 대학도 두뇌한국21(BK21)이라는 명목으로 세금에 눈독 들인다. 벤처자금도 정부가 조성하고, 심지어는 시민단체도 정부의 공모사업비로 운영된다. 출판사도 ‘우수 도서’에 선정되기를 기대한다. 이런 나라에서 관료들의 힘이 어떻게 강해지지 않을 수 있는가?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한다면 정치인은 유권자에게 약하고 유권자는 관료에게 약하고 관료는 정치인에게 약한 먹이사슬(?)이 정상적으로 작동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한민국은 정치인에 대한 유권자의 힘보다 유권자에 대한 관료의 힘이 훨씬 커졌는데 관료를 통제하는 정치의 힘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 힘의 균형이 깨지고 있는 것이다. 국민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을 통해 관료를 통제하기를 원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정치인은 그럴 힘이 없다. 민주주의의 위기이자 대한민국의 위기다.

 

박성민 정치 컨설턴트
from http://www.hani.co.kr/arti/SERIES/652/675011.html

빛으로 17시간 날았다, 아직도 태양계다

빛으로 17시간 날았다, 아직도 태양계다

등록 : 2015.01.23 16:15수정 : 2015.01.23 20:52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행성의 반경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대의 별들도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카이퍼벨트에서는 명왕성보다 작은 왜소행성(왜행성)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사진은 붉은빛을 띠고 있는 왜소행성 ‘마케마케’를 이미지화한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토요판]  /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대

▶ 과학자들은 태양계 주위를 도는 행성들 너머의 공간을 탐사하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끝’이라 여겨졌던 명왕성은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고, 과학자들 사이에선 명왕성만한 수많은 왜소행성들이 하나둘 떠오르고 있습니다. 태양은 자신의 빛이 가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곳에 사는 수많은 별들까지 끌어들여 운동시킵니다. 태양계의 변두리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대로 여행을 떠나보시죠. 태양계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얼마 전에 태양계의 행성과 위성들의 흥미로운 면면에 대해 이야기했다. 하지만 그 정도로 태양계 이야기를 끝내기에는 부족한 감이 있어서, 현대 천문학이 말하는 태양계의 진면목에 대해 조금 더 영역을 넓혀서 알아보면 어떨까 싶다. 어려서 교과서나 그림책으로 보던 우리 동네와 지금 우리 동네는 어떻게 다른지.예전에는 태양계라고 하면 태양과 명왕성까지의 행성 9개, 그리고 그 위성들로만 이루어졌다고 여겼다. 소행성대와 혜성 등은 그다지 무게 있게 다뤄지지는 않았고 명왕성을 끝으로 태양계는 갑자기 끝나버렸다. 반면 지금의 태양계는 명왕성이 빠지면서 행성 수는 8개로 줄었지만 공간적 크기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커졌다. 어떻게 이렇게 된 걸까.일단 해왕성 너머의 태양계 외곽 지역이 새로 발견되고 정의됐다. 여기를 카이퍼벨트라고 부르는데, 명왕성은 이제 이곳에 있는 왜소행성 중 하나다. 벨트라고 하니 토성의 고리처럼 좁은 링 같은 것이 떠오를지 모르지만 실은 행성들이 차지하는 공간보다 더 큰 광대한 지역이고 이 속에서 왜소행성과 소행성, 혜성 같은 천체들이 태양을 돌고 있다. 얼마나 큰가 하니 고전적인 관점에서 봐도 너비가 태양과 지구 사이의 수십배에 이르고, 확장된 관점으로는 장장 500배에 이른다. 태양에서 해왕성까지 거리가 태양에서 지구 거리의 30배쯤 되니, 그 뒤로 얼마나 넓은 공간 속에 얼마나 많은 작은 천체들이 펼쳐져 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카이퍼벨트에 있는 왜소행성 ‘에리스’.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불화를 일으킨 별 ‘에리스’관측으로 확인된 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카이퍼벨트의 개념 자체는 아주 최근 것은 아니다. 1949년 아일랜드의 에지워스와 1951년 미국의 카이퍼가 혜성의 집합 장소로 태양계 외곽의 벨트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냈다. 비교적 짧은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들이 여기서부터 온다고 생각했는데, 이론적인 추측일 뿐 당시 기술로는 직접 관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하지만 시대가 지나면서 이런 곳이 정말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탐색이 진행됐고, 40여년이 지난 1992년에 이르러 명왕성보다 멀리서 태양을 공전하는 최초의 천체 1992 QB1이 발견되기에 이른다. 이어 다음해에는 5개, 그리고 매년 10개 이상의 비슷한 것들이 나타나면서 현재는 1000개가 넘게 발견되었고 지름이 100㎞가 넘는 것만 10만개 이상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찾은 것들 중 하나가 명왕성보다 더 컸기 때문에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격하되어 카이퍼벨트에 편입되고 만 것이다. 명왕성에 이 굴욕을 선사한 천체에는 ‘에리스’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에리스는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불화와 분쟁의 여신이다. 그런 성향 때문에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그녀는 황금사과를 들고 불청객으로 나타나는데, 거기에는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라고 적혀 있었다. 이 문구 때문에 헤라와 아테나, 아프로디테 세 여신이 서로가 가장 아름답다며 다투게 된다. 명왕성과 관련되어 에리스가 한 역할이 실제로 이것과 비슷했다. 왜일까.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던 수성에서 토성까지를 제외하면 천왕성과 해왕성은 둘 다 유럽에서 발견했다. 하지만 명왕성은 20세기 미국에서 발견했고, 따라서 미국 천문학계의 영광이자 자존심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에리스가 새롭게 등장함으로써 미국과 유럽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명왕성의 지위와 관련해 갈등이 생겨날 수밖에 없게 되었으니, 가히 불화의 여신으로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는 천체인 셈이다. 역설적인 것은 이 에리스를 발견한 것 역시 미국인들이었다는 점이다. 이런 우여곡절을 겪으며 행성 수로 보면 태양계가 작아지는 듯했지만 광대한 카이퍼벨트를 얻으면서 전체 면적으로 보면 훨씬 더 커지게 된다. 하지만 우리의 태양계는 딱히 여기서 끝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모른다’라니 이건 또 무슨 소리일까.태양계의 정의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는 관점에 따라 좀 다르다. 예컨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보이저1호 탐사선이 2012년 8월 35년간의 우주여행 끝에 항성간-인터스텔라!- 영역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 말은 태양계를 벗어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데, 실제로 보이저는 이때 ‘태양권계면’을 넘어섰다. 태양권계면은 태양에서 오는 물질들, 즉 태양풍이 더 이상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막히는 지점이다. 이렇게 보면 여기까지가 태양계라고 말할 수 있고 카이퍼벨트를 통해 본 태양계의 관점과는 좀 다르지만 대략 비슷한 영역에 걸쳐 있다.하지만 중력적 관점에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태양권계면까지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넓은 영역에 걸쳐 성간물질이 태양 중력에 묶여 있는 오르트구름이라는 지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오르트구름의 가능성이 제기된 것은 카이퍼벨트 개념이 등장한 시점보다도 20년 가까이 이른데, 어디선가 주기적으로 날아오는 혜성들의 존재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이론이었다. 이 언저리의 이야기는 카이퍼벨트와도 흥미롭게 얽혀 있다.일단 오르트구름을 ‘구름’이라고 부르고 카이퍼벨트를 ‘띠’라고 부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카이퍼벨트는 태양계 내의 모든 행성 및 소행성대와 비슷한 기울기로 평평하게 누워 있는, 넓지만 얇은 원반이다. 그런데 오르트구름은 태양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거대한 구형의 영역이라 형태가 전혀 다르다. 여하튼 이런 곳이 있어야 거기서 혜성들이 온다고 먼저 생각했었다.

 

해왕성 너머 태양계의 변두리
혜성과 왜소행성 등 작은 별들이
카이퍼벨트 지나 태양을 돈다
1992년 ‘1992 QB1’ 발견된 뒤
지금은 1000개가 넘었다중력으로 치자면 태양계는 더 넓다
지구~태양 최대 10만배 거리의
오르트구름대에 수많은 별들 있다
보이저1호 40년 만에 태양권계 진입
태양의 힘 벗어나려면 아직 멀었다

 

태양은 아주 먼 별을 불러온다
그런데 혜성들이 이런 구형의 지역에서 온다고 가정하면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과는 전혀 다른 각도로, 위든 아래든 아무 데서나 마구 날아오는 게 정상일 것이다. 실제로 공전주기가 수천년 이상인 장주기 혜성들은 대개 그런 움직임을 보이는데, 1997년에 지구 주변을 지나간 2537년 주기의 헤일봅 혜성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공전주기가 수십년 이하인 단주기 혜성들은 대부분 경사각이 0도에 가까운 평평한 궤도로, 즉 행성과 같은 원반면에서 태양을 돈다는 점이다. 만약 혜성이 오르트구름에서만 온다면 단주기 혜성들만 이런 움직임을 보이는 걸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혜성들이 출발하는 다른 평형한 띠 형태의 영역이 필요해진다. 이렇게 제안된 것이 바로 카이퍼벨트였던 거다.오르트구름의 추정 크기는 어마어마하다. 아직 직접 탐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대략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2000배에서 5만배, 넓게는 10만 배 이상의 거리까지 뻗어나가는 걸로 여겨지고 있다. 원체 멀기 때문에 이 속에 퍼져 있는 물체들은 행성처럼 커지기는 어렵고 대부분이 물과 메탄, 일산화탄소 등의 얼음바위들인데 간혹 왜소행성에 가까운 큼직한 것도 발견된다.이제 이 오르트구름의 끝까지를 태양계라고 생각해보자. 지금 태양권계면을 넘어가 ‘인터스텔라’ 영역으로 들어가 있다는 보이저1호는 40년에 가까운 여행 끝에 지구에서 대략 17광시, 즉 빛으로 17시간 남짓 걸리는 곳에 도달해 있다. 이것도 만만한 거리는 아니지만 1광년, 즉 빛으로 1년이 걸리는 곳에까지 이르는 오르트구름의 끝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그래서 태양권계면을 넘은 보이저1호가 다시 오르트구름의 초엽에 들어가는 데만도 300년이 걸린다. 그럼 이곳을 가로질러 빠져나오려면 얼마나 걸릴까? 근 1만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하다.이렇듯, 태양풍의 도달거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보이저1호는 태양계를 벗어났다고 볼 수 있지만 태양 중력권에 묶인 천체의 관점에서는 신석기 초엽부터 지금까지에 해당하는 기나긴 세월이 흘러야만 비로소 태양계를 벗어날 수 있다. 우주의 가장 작은 지역인 태양계 일대만도 이처럼 거대하다.그럼 이렇게 어렵사리 우리 동네를 떠나 도달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이웃은 어디일까? 저 오르트구름을 넘어서도 3광년이나 더 여행해야 하는 켄타우루스 자리의 별들이다. 이곳에는 서로를 공전하는 쌍성인 알파A와 알파B, 그리고 적색왜성 프록시마 등이 있다. 가깝다고는 하지만 보이저 같은 속도로 가면 몇만년이 걸리고, 그 사이는 소행성이나 얼음덩어리도 하나 없는 말 그대로의 허공이다. 이렇다 보니 지금으로서는 여행은 꿈도 꾸기 어렵지만, 우리가 만약 저 광막한 공간을 넘어 외계로 향한다면 맨 처음 거쳐갈 곳임은 분명하다.

태양계의 끝, 허공의 알파B
오랫동안 천문학자들은 이곳에 설마 행성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2012년 가을 놀라운 소식이 들려온다. 유럽남방천문대(ESO)에서 알파B를 도는 행성 하나를 발견한 것이다. 태양계에서 이렇게 가까운 곳에 행성이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신선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이 행성은 가스가 아닌 암석으로 이루어졌고 크기도 지구와 거의 같은, 속칭 ‘지구형 행성’이다. 다만 모항성에서 너무 가깝기 때문에 구리가 액체 상태로 녹아버릴 정도라 생명체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그보다 좀 먼 궤도에 다른 행성이 여럿 있을 가능성이 있고 그중에는 생명을 품을 만한 곳이 있을지도 모른다.우리는 언젠가 저곳에 도달할 수 있을까? 보이저의 예로 봤듯이 전망은 그리 밝지 않고, 앞으로 긴 세월 동안 우리의 몸은 태양계 안에 갇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과학 지식은 이미 수백억 광년의 우주 끝을 넘나들고 있다. 그래서 과학을 도구로 하는 모험가 정신을 잃지 않는다면 결국 저 바깥에서 살고 있는 이웃들과 하나둘 만날 날도 올 것이다. 그때가 되면 우리는 나라와 대륙, 지구, 태양계를 넘어 이제 저 큰 은하마저 우리 동네라고 말하게 될 것이다.

파토 원종우 <태양계 연대기> 저자·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진행

 

from 한겨레 토요판 – 별- http://www.hani.co.kr/arti/SERIES/585/674993.html

‘GMO 독점’ 몬샌토, 유럽 식탁까지 넘본다

‘GMO 독점’ 몬샌토, 유럽 식탁까지 넘본다

 

[경제의 창]

천사의 양식인가, 악마의 밑밥인가?유전자변형작물(GMO·이하 지엠오)은 두 얼굴을 가졌다. ‘꿈의 식량’과 ‘재앙의 먹거리’ 중 어느 쪽이 진짜 얼굴인지는 뜨거운 논란거리다. 지난 20여년 동안 지엠오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달했고 시장 규모도 급성장하고 있다. 그런 만큼이나 지엠오를 둘러싼 논란과 법적 분쟁, 홍보와 로비도 갈수록 달아오르고 있다.

141734767746_20141201

창이냐 방패냐유럽연합(EU)과 미국은 현재 진행중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농업 부문, 특히 지엠오 작물의 시장 개방 여부를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지금까지 지엠오 농산물의 역내 재배를 금지하고 가공식품 승인에도 매우 엄격한 규제기준을 유지해왔다. 반면, 지엠오 작물의 최대 생산국인 미국은 이 규제를 무력화할 경우 막대한 이익이 보장된다.유럽의회는 지난달 유럽연합 차원에서 지엠오 작물의 재배를 허용하더라도 각국이 자율적으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인정하기로 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지엠오 기업들이 개별 회원국과 직접 협상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구는 기각됐다. 엇갈리는 이해관계와 미국의 압력을 절묘하게 버무린 묘책이었다. 앞서 지난 6월 톰 빌색 미국 농무장관이 “과학은 보편적 언어다. 협상 내용이 어떻게 타결되든 심오한 과학과 부합돼야 한다”고 했던 압박성 발언은 빛이 바랬다. 유럽 최대 농산물 생산국인 프랑스와 독일이 지엠오 작물 전면 개방에 완강히 반대하는 반면, 영국은 지엠오 농산물 재배를 찬성하는 입장이다.

지엠오 농산물에 대한 찬반양론은 접점을 찾기 어려울 만큼 민감하고 발화성도 크다. 캐나다의 유명 포크록 뮤지션이자 환경운동가인 닐 영(68)은 지난달 18일 세계적인 식음료 체인매장인 스타벅스에 대한 보이콧을 선언했다. 영은 팬들에게도 스타벅스에 압력을 행사해줄 것을 호소했다. 앞서 지난 5월 미국에선 최초로 버몬트 주의회가 지엠오 식품 의무표시제 법안을 통과시키자 미국식품가공협회가 이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는데, 영의 주장에 따르면 “그 소송 배후의 그림자에 스타벅스가 숨어 있다”는 것이다. 스타벅스는 곧바로 성명을 내어 “우리는 지엠오 표시 소송에 참여하지 않았고 돈도 대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파장은 만만치 않았다

.8개월째로 접어든 ‘우크라이나 사태’에 지엠오 산업의 최선두 업체인 몬샌토가 다른 목적으로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지난 5월 독일 일간 <빌트>는 독일 연방정보국(BND)을 인용해 “친러 분리주의 반군을 진압하는 우크라이나 정부군에 미국의 민간 용병업체인 ‘아카데미’ 소속 정예요원 400명이 참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런데 아카데미의 전신인 블랙워터를 수년 전 몬샌토가 사실상 인수했다는 정황과 보도가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2010년 4월 미국 시사주간 <네이션>이 “블랙워터가 몬샌토에 반대하는 활동가 그룹에 잠입하는 공작원을 제공해주는 방식으로 몬샌토의 ‘정보기구’가 되려 한다”고 폭로한 게 시초다.미국의 민간 사회·경제·환경정책 싱크탱크인 오클랜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부채에 시달리는 우크라이나에 170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하는 대가로 민간 부문에 지엠오 농산물 시장을 개방할 것을 압박했으며, 이에 미국의 지엠오 기업들이 환호했다”는 뒷이야기를 공개한 바 있다.

세계 GMO 작물 시장 95% 장악
EU 압박하며 규제 무력화 시도
우크라 사태 개입 우회 전략도재배면적 17년 만에 100배 증가
인도선 합법화 뒤 농민 자살 급증
한국은 일본 이어 세계 2위 수입국

몬샌토 독점 아래 쑥쑥 크는 지엠오 시장
지엠오 농산물은 1996년 미국 기업 몬샌토가 유전자 재조합으로 만든 대두(콩)를 처음 상용화한 이래, 17년 연속 재배면적과 매출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농업생명공학응용국제서비스(ISAAA)의 최신 보고서 <상용화한 생명공학/유전자변형작물 글로벌 현황: 2013>을 보면, 세계 지엠오 작물 재배면적은 1996년 170만㏊(헥타르)에서 10년 만인 2006년 1억㏊를 넘어섰고, 지난해엔 27개국 1억7530만㏊에 이른다. 지엠오 작물의 영토가 17년 만에 100배나 넓어진 것이다. 농업생명공학응용국제서비스는 전세계 지엠오 작물 생산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비영리 국제단체다.현재 지구촌에선 콩·목화·옥수수·카놀라(유채)를 비롯해 18개 작물(108개 품목)이 지엠오 안전성 승인을 받아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상용화 첫해인 1996년 당시 9300만달러에 불과했던 세계 시장 규모가 지난해엔 156억달러(약 17조2600억원)를 돌파했다. 17년 새 167배나 커졌다.

지엠오 업계는 농산물에 외부 유전자를 끼워넣고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초제 내성, 해충 저항성, 가뭄 저항성을 키우고, 알곡의 크기와 생산량도 끌어올린다. 농업생명공학응용국제서비스는 “모험을 싫어하고 위험 기피 성향이 강한 농민들이 농업생명공학에 믿음을 갖는 주요한 이유는 지엠오 작물이 지속가능하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면에서 높은 이익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세계 지엠오 시장은 몬샌토의 안마당이기도 하다. 몬샌토는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본사를 두고 60여개국에 지사 또는 현지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막대한 투자와 앞선 기술력, 공격적 마케팅으로 세계 종자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이 148억달러로, 금액 기준으로 보면 세계 지엠오 작물 시장의 95%를 차지한다. 몬샌토는 지엠오 작물 개발이 기후변화와 환경파괴, 세계 인구 증가 등에 따른 식량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농업 개선’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어쨌든 경제적 관점에서만 보면 지엠오 산업과 시장은 몬샌토·듀폰·신젠타·다우 등 거대 다국적 지엠오 기업들에는 활짝 열린 ‘블루오션’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유전자변형작물(GMO) 반대 시위 중 한 어린이가 “우리는 과학실험 대상이 아니에요”라고 쓴 팻말을 들고 있다. 로스앤젤레스/로이터 연합뉴스

소송·회유·공작의 그림자
지엠오 업계의 화려한 홍보 뒤엔 지엠오 농산물의 부작용과 냉혹한 자본의 논리가 숨어 있다.지엠오 목화 재배 1위국인 인도에선 지난 20년 새 무려 29만명의 농민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하루에 40명꼴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자살의 배경과 자살률의 증가세다. 인도의 다큐멘터리 작가인 알라카난다 나그는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서 “인도에서 지엠오 작물 재배가 불법이었을 땐 지금처럼 농민 자살이 많지 않았는데, 합법화한(2002년) 뒤로 자살률이 확연히 가파르게 치솟았다”고 말했다. 가난한 농부들이 풍작의 희망을 품고 빚을 내어 몬샌토 종자를 재배했는데, 제대로 결실을 맺지 못하거나 종자 가격이 오르면서 극한 상황으로 내몰린다는 얘기다. 이에 대한 몬샌토의 공식 입장은 “인도 농민들의 자살이 지엠오 목화 경작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지엠오 업체들은 마케팅 말고도 소송과 돈이라는 강력한 무기로 지엠오 작물에 대한 반발과 거부감을 무력화하려 한다.

지난달 12일 몬샌토는 미국 북서부 지역 밀 재배 농민들과의 지엠오 작물 소송과 관련해 농장주들과 미국 밀조합 등에 모두 240만달러(약 27억원)를 지급하고 분쟁을 끝내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오리건주의 한 밀 농장에서 미국 정부가 승인하지 않은 ‘유전자 변형’ 밀이 발견됐는데, 그 품종이 10여년 전 몬샌토가 시험 개발하다 중단한 것과 같다는 게 확인되면서 소송으로 번졌다. 이 사건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즉각 미국산 밀 수입을 잠정중단하고, 유럽연합은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는 등 국제적인 이슈가 됐다. 우리나라는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지엠오 농산물 수입국이다.지엠오 농산물 반대론의 핵심은 인위적으로 외부 유전자를 삽입하고 재조합한 작물들이 생명의 안전성을 위협한다는 것이다. 생명윤리 문제는 접어두더라도, 암이나 유전질환과 같은 질병과 신체기능 이상을 유발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며, 환경을 파괴할 것이란 우려가 깊다.지엠오 농축산물이 식탁을 점령하는 미래가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 아직은 판명나지 않았다.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엠오 업체를 비롯한 어느 누구도 이 문제를 시장 논리나 개별 소비자의 선택에 맡겨도 된다고 확신하진 않는다는 것이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from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666839.html )

‘인터스텔라’ 속 시간지연, 지구에서도 매일 일어난다

‘인터스텔라’ 속 시간지연, 지구에서도 매일 일어난다

[토요판] 별

영화 ‘인터스텔라’와 블랙홀

 

블랙홀-화이트홀 모델에서는 무엇이든 빨아들이고 내뱉지 않는 속성 때문에 에스에프(SF) 영화에서 소재로 다루기 어려웠다. 하지만 영화 <인터스텔라> 제작에 참여한 물리학자 킵 손의 웜홀 모델에서는 이론적으로 왕복여행이 가능하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한 블랙홀의 이미지. 알랭 리아주엘로(크리에이티브 코먼스)

▶ ‘영화의 주인공은 인간이 아니라 우주 자체다.’ 이런 평가가 어색하지 않은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영화 <인터스텔라>가 지난 6일 개봉된 뒤 관람객 500만명을 넘어서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블랙홀, 웜홀 등 어려운 물리학적 개념을 영화적 상상력 안에 성공적으로 입주시켰습니다. 우리가 <인터스텔라>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당신의 시간만 10경분의 4 빨리 간다면…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에스에프(SF) 영화 <인터스텔라>가 큰 화제다. 복잡한 작품의 내용과 국내에서의 흥행 열풍 양면에서 그렇다. 이미 관람객 500만명을 넘어서 <명량> 이전에 국내 최고 흥행작인 <아바타>보다도 표 팔리는 속도가 빠르다고 하니 그야말로 대박이다. 그 덕에 물리학과 천문학의 주제인 블랙홀과 웜홀이 일상적인 관심사가 되고, 난해하기 그지없는 일반상대성이론과 5차원 개념이 술자리에서 안줏거리로 오르내린다. 국내에서 유독 흥행이 잘된다고 하니 그 점도 흥미롭다. 그런 만큼 이 영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논할 거리가 많지만, 이 코너의 이름은 ‘별’이니 우리는 별의 관점에서 주로 이야기해보자.

 

왕복여행 가능한 킵 손의 웜홀 모델
사실 이 영화는 별이 주인공인 별 영화다. 웜홀, 블랙홀, 행성 등 여러 종류의 천체와 그 천체들과 주인공의 상호작용이 줄거리의 대부분을 끌고 가기 때문이다. 제목 중의 ‘스텔라’도 별이라는 뜻이다. 이 제목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있는데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인터내셔널’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말을 떠올리면 된다. 그저 나라 대신 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을 뿐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딱딱한 직역이나 모호한 의역을 하지 않더라도 넓고 큰 우주의 스케일과 그 속을 여행하는 인간이라는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이 영화에서 별들은 어떤 역할을 할까. 일단 멸망의 길로 치달아가는 인류에게 희망을 주는 탈출구로서 웜홀이 등장한다. 웜홀은 그 자체로 별은 아니고 아직 실재 여부가 확인되지도 않았지만, 만약 존재한다면 블랙홀과 마찬가지로 별이 죽어서 만들어지는 천체일 것이다. 웜홀이라는 재미있는 이름은 사과의 벌레 구멍에서 유래했다. 요즘은 흔치 않지만 예전에는 사과의 한쪽과 다른 한쪽을 연결하는, 애벌레가 만든 구멍이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 구멍은 사과 표면의 서로 떨어진 두 지점을 껍질의 곡면을 따라가는 것보다 빠르게 연결해 주는 지름길인데, 우주에도 중력 붕괴로 인한 블랙홀의 변종으로 이런 것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웜홀의 존재와 그를 통한 우주여행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제시한 이가 바로 영화에서 자문을 넘어 프로듀서로까지 이름을 올린 물리학자 킵 손이다.그가 1988년에 발표한 논문의 이름에는 영화의 제목과도 깊이 연관되는 ‘인터스텔라 트래블’, 즉 항성간 여행이 등장한다.

원래 웜홀의 개념은 입구인 블랙홀과 출구인 화이트홀로 나뉘어 있었다. 화이트홀은 블랙홀과 반대로 빛을 포함한 모든 것을 토해내는 흰 구멍인데, 그 존재 근거는 블랙홀에 물체들이 빨려 들어가도 질량의 총량이 변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 질량을 어디론가 밖으로 방출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순수하게 수학적인 가정이었는데 그나마 블랙홀이 강력한 제트 형태로 가스를 분출할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되고, 2008년에는 이 제트가 멀리 떨어진 은하를 타격하는 장면까지 관측되자 용도폐기 되었다.

그래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구분하지 않는 킵 손의 웜홀 모델이 각광을 받게 된다.하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쪽이 낫다. 왜냐하면 이전의 웜홀 구조로는 모든 ‘인터스텔라’ 여행은 편도여행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옛 이론에 따르면 블랙홀로는 아무것도 나올 수 없고 화이트홀로는 아무것도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한쪽은 언제나 입구, 다른 쪽은 언제나 출구다. 이래서는 기껏 큰맘 먹고 블랙홀에 뛰어든다 한들 자칫 우주의 아무것도 없는 지역에서 튀어나와 영원히 돌아오지 못하는 신세에 빠지기 십상이다. 따라서 웜홀을 발견한다 한들 감히 여행을 감행하려 들기도 어렵고, 이 영화 같은 에스에프 스토리에 사용하기도 마땅찮은 것이다.이렇게 킵 손의 웜홀 개념 덕에 이 영화에서는 웜홀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여행이 시작될 수 있었다.

그런데 인듀어런스호가 도착한 우주의 먼 곳에는-다른 은하계라는 설정이니 실은 인터스텔라가 아니라 ‘인터갤럭틱’이겠다-우연인지 필연인지 또 하나의 죽은 별인 블랙홀이 놓여 있고, 웜홀 외에는 장거리 우주여행을 할 기술도 방법도 없는 주인공네로서는 이 근처에서 어떻게든 인류가 살 수 있는 행성을 찾아야 할 입장이 된다.문제는 블랙홀 주변에서는 강한 중력으로 기묘하고도 위험천만한 일들이 벌어진다는 점이다. 동료 한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산더미만한 파도는 일반적인 파도가 아니라 블랙홀의 중력에 의한 거대한 조석간만의 결과로 보는 게 옳겠다. 행성이 블랙홀에 꽤 가깝게 있다 보니 행성이 자전하면서 블랙홀 쪽의 면과 반대쪽에 받는 중력의 크기에 서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서해의 뻘에서 게라도 한 마리 잡아봤거나 제부도의 속칭 ‘모세의 기적’을 접한 사람이라면 지구의 위성인 달의 중력이 만들어내는 조석간만의 힘을 잘 알 것이다. 이때 달 대신 가까운 거리에 무지막지한 블랙홀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 큰 파도도 별로 이상할 게 없다.

블랙홀의 또다른 영향은 극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간지연 효과다. 주인공 쿠퍼와 아멜라는 문제의 행성 표면에서 단 몇 시간을 보냈을 뿐이지만 우주 공간의 인듀어런스호에서 기다리던 도일-그리고 지구와 우주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수십년이 지나고 만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예견했듯이 이런 일은 블랙홀같이 중력이 아주 강한 곳 주변에서 실제로 벌어지는데, 실은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도 늘 일어나고 있다. 모든 물체에는 질량이 있고, 질량이 있는 곳엔 중력이 있고, 크건 작건 중력은 반드시 시공간을 왜곡하기 때문이다.물론 일상에서는 그 효과가 너무 적어서 알아채기 어렵고 믿기도 힘들지만 정밀한 실험을 통해 그 존재는 여러 번 증명되었다. 가장 극적인 예는 미국표준기술연구소의 연구 결과다. 2010년 제임스 칭원 초 박사팀은 ‘37억년에 1초’ 미만의 오차를 가진 초정밀 광시계를 이용해 지표에서 두 뼘이 채 안 되는 높이에서도 중력의 차이에 의한 시간지연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고 그 결과는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 연구에 따르면 33㎝ 높이에 놓은 시계가 지면의 시계에 비해 10경분의 4 정도 빨리 간다. 이것은 인간이 모두 정확히 79년을 산다고 가정할 때 다른 사람들보다 33㎝ 높은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900억분의 1초 일찍 죽는다는 뜻인데, 물론 실생활에서의 영향은 전무하지만 물리학적으로는 큰 의미를 가진다.

시간을 지배하는 것은 중력
기존 블랙홀-화이트홀 모델은
한번 빠지면 나오지 못했다
킵 손의 새로운 웜홀 모델
시공간 돌파한 왕복여행 가능시간은 사실 상대적인 것
해발 33㎝에선 10경분의 4 빠르다
영화 ‘인터스텔라’ 열풍은
절대적 시공간 벗어나려는
인간의 무의식적 열망 아닐까

 

영화 <인터스텔라>의 한 장면. 주인공 일행이 도착한 별에는 블랙홀 주변의 강한 중력 때문에 거대한 조석간만이 있다. 워너브라더스코리아 제공

높은 곳에 사는 사람은 빨리 죽는다
그런데 이 시간지연 효과가 블랙홀 주변이나 광속에 가깝게 움직이는 물체들의 세계에서만 느낄 수 있는 피안의 것이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이 효과가 우리 생활 속에서 매일같이 쓰이는 분야도 있는데, 바로 우리가 늘 활용하는 내비게이션의 위성위치추적장치(GPS)가 그것이다. 지피에스 좌표 신호를 보내는 위성들은 대개 지구의 중궤도, 약 2만㎞ 상공에 떠 있다. 따라서 지구의 중력이 지표보다 훨씬 덜 미치기 때문에 지구의 우리 관점에서 보면 위성의 내부 시간이 조금씩 빨리 간다. 그 시간 차이가 아주 작긴 하지만, 원리상으로는 지상의 우리를 파도 행성에서의 쿠퍼와 아멜라, 그리고 지피에스 위성을 인듀어런스호와 그 속에서 기다리던 도일에 대입할 수 있다.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지피에스 위성은 시속 1만3800㎞의 고속으로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에 중력 효과와는 별개로 내부 시간이 늦어진다는 점이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크거나 속도가 빠르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시간이 늦게 간다. 그런데 지피에스 위성은 약한 중력 상태에서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전자(약한 중력)는 시간을 빠르게 하고 후자(빠른 속도)는 느리게 한다. 따라서 지구상에서 지피에스 좌표를 정확히 알려면 컴퓨터를 통해 이 빨라짐과 느려짐의 오차를 계산해서 보정해줘야만 한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의 위치는 매번 엉뚱하게 나타나고 내비게이션은 아무 쓸모도 없을 것이다.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터스텔라 속 기묘한 세상은 실은 우리 삶에 이토록 가까이 있다.이렇듯 별을 통해 별을 찾아가 별들이 만들어내는 위험하고도 신비한 조화를 겪으며 인간이 살 수 있는 별(행성)을 찾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바로 이 영화, 인터스텔라다. 물론 인간이 살아서 웜홀이나 블랙홀에 들어갈 수 있을지, 또 블랙홀 내부에 정녕 시간을 넘나드는 5차원 큐브가 존재할지의 여부는 그야말로 상상의 영역이다. 하지만 옳고 그름을 논하는 것이 무의미한 상상의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 바로 이 비밀스럽고도 신비한 우주의 속성이자 매력일 것이다.

이 영화는 그런 점을 잘 활용하고 또 멋지게 표현하고 있다.그래도 이 뜻밖의 엄청난 흥행 돌풍은 무슨 연유일까? 개봉 전 시사회에서 영화를 보고 난 후 과학자, 에스에프 전문가들과 함께 조심스레 점친 흥행 스코어는 300만을 넘지 못했다. 그 예상이 보기 좋게 깨진 것은 아마도 우주와 천체,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신비로운 과학 원리들에 대한 관심이 예전보다 높아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답답하기 그지없는 작금의 현실에서 벗어나 좀더 크고 아름다운 무엇인가로 향하고 싶은 사람들의 무의식적 열망이 반영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서머싯 몸의 소설 <달과 6펜스>에서 달이 상징하듯, 예전부터 하늘과 별은 현실 너머 이상의 다른 이름 아니었던가.

파토 원종우 <태양계 연대기> 저자

 

(from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665617.html)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Most managers today understand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information-based, knowledge-driven, service-intensive economy. They know what the new game requires: speed, flexibility and continuous self-renewal. They even are recognizing that skilled and motivated people are central to the operations of any company that wishes to flourish in the new age.

And yet, a decade of organizational delayering, destaffing, restructuring and reengineering has produced employees who are more exhausted than empowered, more cynical than self-renewing. Worse still, in many companies only marginal managerial attention — if that— is focused on the problems of employee capability and motivation. Somewher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precious human capital is being misused, wasted or lost.

Having studied more than 20 companies in the process of trying to transform themselves, we have concluded that although structure is undoubtedly an impediment to the process, an even bigger barrier is managers’ outdated understanding of strategy.(See “The Evolving Focus of Strategy.”) At the heart of the problem is a failure to recognize that although the past three decades have brought dramatic changes in both external strategic imperatives and internal strategic resources, many companies continue to have outmoded strategic perspectives.

In the competitive-strategy model in which many of today’s leaders were trained, sophisticated strategic-planning systems were supposed to help senior managers decide which businesses to grow and which to harvest.1 Unfortunately, all the planning and investment were unable to stop the competition from imitating or leapfrogging their carefully developed product-market positions.

In the late 1980s, the search for more dynamic, adaptive and sustainable advantage led many to supplement their analysis of external competition with an internal-competency assessment. They recognized that development of resources and capabilities would be more difficult to imitate: The core-competency perspective focused attention 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reation and building learning processes for competitive advantage.2 But this approach, too, faced limits as companies recognized that their people were not equal to the new knowledge-intensive tasks. By definition, competency-based strategies are dependent on people: Scarce knowledge and expertise drive new-product develop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key clients are at the core of flexible market responsiveness. In short, people are the key strategic resource, and strategy must be built on a human-resource foundation. As more and more companies come to that conclusion, competition for scarce human resources heats up.

The Role of the Executive in the “War for Talent” Era

Senior managers at most traditional companies have been left gasping for air at the breadth and rapidity of change during the past two decades. Hierarchy has to be replaced by networks, bureaucratic systems transformed into flexible processes, and control-based management roles must evolve into relationships featuring empowerment and coaching. In observing companies going through such change,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s difficult as the strategic challenges may be, they are acted on faster than the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needed to sustain them. And however hard it is to change the organization, it is even harder to change the orientation and mind-set of its senior managers. Hence today’s managers are trying to implement third-generation strategies through second-generation organizations with first-generation management.

In an earlier study we analyzed the evolution of CEO Jack Welch’s thinking at General Electric Co. and the simultaneous adjustment of his leadership role during the company’s two-decade transformation.3 In many ways, however, Welch is an exception: Very few top executives have been able to transform themselves from being analytically driven strategy directors to people-oriented strategy framers. Yet for a traditional company to make the transition into the New Economy, that transformation is vital. In our ongoing research, we have identified three important changes the CEO must make.

A Changing View of Strategic Resources

The hardest mind-set to alter is the longstanding, deeply embedded belief that capital is the critical strategic resource to be managed and that senior managers’ key responsibilities should center around its acquisition, allocation and effective use.

For the vast majority of companies, that assumption simply is no longer true. Without denying the need for prudent use of financial resources, we believe that, for most companies today, capital is not the resource that constrains growth. Global capital markets have opened up the supply side, while widespread excess industry capacity has reduced the demand side. The recent reversals in some sectors notwithstanding, most companies are awash in capital. Of them, many cannot even generate sufficient high- quality capital-budget projects to use the available resources —and therefore go on merger-and-acquisition expeditions.

The stock market is telling managers what the scarce strategic resource is. When it values a mature, capital-intensive company like GE at 10 times its book value, it is seeing something of greater worth than the physical assets recorded in financial accounts. Though the dot-com bubble burst, the exuberant and often irrational funding of technology-savvy entrepreneurs pointed to the same lesson: There is a surplus of capital chasing a scarcity of talented people and the knowledge they possess. In today’s economy, that is the constraining — and therefore strategic — resource.

The implications for top management are profound. First, human-resources issues must move up near the top of the agenda in discussions of the company’s strategic priorities. That means that a first-class human-resources executive must be at the CEO’s right hand. Eventually, traditional strategic-planning processes will need to be overhauled and the financially calibrated measurement and reward systems will have to be redesigned to recogniz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human as well as financial resources.

A Changing View of Value

Recognizing that the company’s scarce resource is knowledgeable people means a shift in the whole concept of value management within the corporation.

In the early 1980s, competitive strategy was seen as a zero-sum game. Michael E. Porter, for example, saw the company surrounded by its suppliers, customers, competitors and substitutes, engaged in a battle with them to capture the maximum economic value possible.

The subsequent interest in building and leveraging unique internal capabilities caused a gradual shift in emphasis from value appropriation to value creation.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came to provide competitive advantage, the game shifted. Unlike capital, knowledge actually increases when shared, thus eliminating the zero-sum game. Clearly, the focus on value creation demands a different approach than a focus on value appropriation.4

One of the most basic issues is how the value that the company creates should be distributed. Most companies operate under the assumption that shareholders, as contributors of capital, have the primary claim. But recruiting difficulties that large traditional companies face, employees’ eroding sense of loyalty and cynicism over the growing gap between the compensation of those at the top and those on the front lines all indicate that value distribution must change. The rapid spread of stock options as a form of compensation shows that companies have begun to recognize that the owners of the scarce resources are no longer only the shareholders but also the employees.

The implications are profound. Top management must begin renegotiating both implicit and explicit contracts with key stakeholders, particularly with employees. Unless those who contribute their human and intellectual capital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fruits of the value creation they are driving, they will go where they have that opportunity — typically to newer, less tradition-bound companies.

A Changing View of Senior Managers’ Roles

Unlike capital, scarce knowledge and expertise cannot be accumulated at the top of the company and distributed to those projects or programs in which it will yield the greatest strategic advantage. It resides in the heads of individuals at all levels and is embedded in the relationships of work groups — those closest to the customers, the competitors and the technology. Therefore, rather than allocate capital to competing projects (the zero-sum game), senior managers must nurture individual expertise and initiative, then leverage it through cross-unit sharing (the positive-sum game).

Already we have seen downsizing of corporate planning departments, simplification of strategic-planning and capital-budgeting processes, and massive overhauls of corporate structures and processes — all in an effort both to shift initiative to those deep in the organization who possess valued expertise and to break down the barriers to effective sharing of that expertise.

But senior managers also must rethink their role in shaping strategic direction. Their main contribution has shifted from deciding the strategic content to framing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at means creating a sense of purpose that not only provides an integrating framework for bottom-up strategic initiatives, but also injects meaning into individual effort. It means articulating company values that not only align organizational effort with the overall enterprise objectives, but also define a community to which individuals want to belong. And it means developing organizational processes that not only get work done effectively, but also ensure the empowerment, development and commitment of al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e philosophical shift requires executives to expand beyond strategy, structure and systems to a simultaneous focus on the company’s purpose, process and people.

Implications for HR Professionals

In many companies the transition process is becoming an important proving ground for the human-resources function, with many old-school HR executives finding that neither their training nor their experience has prepared them for a leading strategic role. In the 1980s era of competitive-strategy analysis, their function was typically supportive and administrative. Once line managers had translated top management’s strategic objectives into specific operational priorities, the role of HR staff was to ensure that recruitment, training, benefits administration and the like supported the well-defined strategic and operational agenda.

When strategic priorities became more organizationally focused in the 1990s, human-resources managers increasingly were included in the strategic conversation, often to help define and develop the company’s core competencies — and almost always to align the organizational design and management skills to support those strategic assets.

Now, as companies move into the war for talent and as individuals with specialized knowledge, skills and expertise are recognized as the scarce strategic resource, HR professionals must become key players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delivery of a company’s strategy. (See “The Evolving Role of Human Resources.”)

Unfortunately, many top-level human-resources managers view the new task through old lenses. They continue to treat employees as raw materials to be acquired and then made useful through training and development, or at best they acknowledge employees to be valuable assets on whom expenditur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and generous compensation are worthwhile investments. In response to the demands resulting from the growing importance of human capital, they develop more-aggressive approaches to recruitment, create more-innovative training programs, and experiment with more-sophisticated compensation packages. The problem is twofold: They are tackling a strategic task with old, functional tools, and they are trying to bring about major systemic change with incremental, programmatic solutions. Human-resources managers must see employees as “talent investors,” to be treated as partners and rewarded the way other investors are.

We have identified three core tasks that align the human-resources function with the strategic challenge of developing the company’s human capital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building, linking and bonding.

The Building Challenge

Many companies claim that their people are their most important asset, but few have built the human-resources systems, processes or cultures that can even offset, let alone challenge, the deeply embedded bias toward financial assets. For example, in almost any company, decisions relating to capital expenditures are subjected to well-documented capital-budgeting procedures. Typically, guidelines define approval levels (for example, division presidents may approve expenditures up to $1 million, the CEO up to $5 million, and the board above that level), require clear evaluation processes (for example, positive discounted-cash-flow returns above the weighted cost of capital) and set specific benchmarks (for example, payback on new equipment in three years).

When it comes to hiring a district sales manager or a shift foreman, however, decisions are routinely made by front-line managers who choose the best available among three or four marginal applicants to address a short-term difficulty. Yet that is at least a $2 million decision if one calculates recruiting costs, training costs and a discounted cash flow of the expected future stream of salary and benefits payments over the average tenure of such employees. But by recruiting a merely average individual, the company loses the opportunity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a hiring decision. If the company were to make the decision strategic, it would have to set standards, monitor activities and measure recruiting outcomes in a way that made the decision as precise and rigorous as those guiding capital allocation.

Converting recruitment into a strategic task means making an ongoing commitment to locating and attracting the best of the best at every level and from every source. Microsoft Corp. is unusually thorough in its recruitment process, annually scanning the entire pool of 25,000 U.S. computer-science graduates in order to identify the 8,000 in whom it has an interest. After further screening, it targets 2,600 for on-campus interviews and invites just 800 of those to visit the company’s Redmond, Washington, headquarters. Of them, 500 receive offers, and 400 — the top 2% of that year’s graduates — typically accept. Yet that massive college-recruiting effort provides less than 20% of the company’s new-people needs. To locate the rest, the company maintains a team of more than 300 recruiting experts whose full-time job is to locate the best and brightest in the industry. That strike force builds a relationship with literally thousands of the most capable systems designers, software engineers and program managers, often courting them for years. In the late 1990s, the effort resulted in more than 2,000 of the most talented people in the industry joining Microsoft annually.

After a company has acquired top talent, the building challenge also requires the human-resources function to lead company efforts in constantly developing those talented individuals. That requires more than traditional training programs provide. Today development must be embedded in the company’s bloodstream, with all managers responsible for giving their team members ongoing feedback and coaching. That is something McKinsey does unusually well, which helps to explain why M.B.A.s worldwide are more likely to seek employment there than at any other employer. (See “One Company’s Way of Valuing People.”)

There is one other aspect of building human capital that is grossly undermanaged at most companies. As any good gardener knows, to promote healthy growth, in addition to fertilizing and watering you also must prune and weed. That is a metaphor Jack Welch used often in describing the performance-ranking process he introduced to cull chronic underperformers at GE. Yet in most companies, the human-resources department focuses considerable effort on planting, staking, watering and fertilizing — and practically none on cutting out deadwood or growth-inhibiting underbrush.

Culling is no longer confined to hard-driving U.S. industrial companies. South Korea’s LG, traditionally a cradle-to-grave employer, uses a “vitality index” as a critical performance measure. All managers have to rank their direct reports on a 1-to-5 scale (with 1 equal to the bottom 10% and 5 representing the top 10%). The vitality index is the ratio of new recruits who are ranked at 4 or 5 to employees of rank 1 or 2, who are counseled to move on.

The Linking Task

Just as there is value in attracting and developing individuals who hold specialized knowledge, there is value in the social networks that enable sharing of that knowledge. Indeed, unless a company actively links, leverages and embeds the pockets of individual-based knowledge and expertise, it risks underutilizing it or, worse, losing it. As companies seek the best ways to convert individual expertise into embedded intellectual capital, the classic response is to give the task to the chief information officer — along with the faddish title of chief knowledge officer.

Not surprisingly, people with information-systems background immediately focus on the task of mapping, modeling and codifying knowledge. Under their leadership, companies have developed databases, expert systems and intranets to help capture and make accessible the company’s most valuable information. Yet in many companies, managers do not take full advantage of those elegant new knowledge-management systems.

At the heart of the problem is a widespread failure to recognize that although knowledge management can be supported by an efficient technical infrastructure, it is operated through a social network. Information technologists may help in organizing data and making it accessible, but they must be teamed up with — and operate in support of — those who understand human motivation and social interaction. Only then can individual roles and organizational processes be designed to ensure the delicate conversion from available information to embedded knowledge.

Thus, the second core strategic role of the top HR executive is to take the lead in developing the social networks that are vital to the capture and transfer of knowledge. Because tha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design, process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rust-based culture, it calls for leadership from sophisticated human-resources professionals who also have a strong understanding of the business.

The most obvious challenge is to build on the process reengineering that most companies implemented during the 1990s to break down bureaucracy and unlock core competencies. The reengineered processes (whether at a micro level, as in order entry, or a macro level, as in new-product development) had two major objectives: breaking down hierarchical barriers to rapid decision making, and opening up new horizontal channels and forums for cross-uni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ose activities are precisely what will link isolat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units into dynamic social networks.

In the early 1990s, British Petroleum built such networks under the leadership of John Browne, who at the time was overseeing the development of BP’s prototype knowledge-management and organizational-learning program as head of BP Exploration. Transferring the approach to the whole company when he became CEO in 1995, Browne avoided installing a new set of information systems, focusing instead on a practice he described as “peer assists.” The assist was a small-scale project that encouraged those on the front line in one business unit (operators on a drilling platform in the North Sea, for example) to contact other BP operations (offshore drillers in the Gulf of Mexico, for instance) that had the expertise to help solve particular problems. Cutting through formal layers and complex procedures, the process became an accepted way of doing business, and managers soon recognized that it was not acceptable to refuse a request for help.

The process was supplemented by “peer groups” of business units engaged in similar activities at similar stages of their life cycle (for example, all start-up oil fields, all mature oil fields or all declining-yield oil fields) and facing similar strategic and technical challenges. The idea was to create a way that managers of BP’s newly decentralized operations could compare experiences and share ideas. In recent years “peer assist” has been expanded into “peer challenge,” in which peers not only review one another’s goals and business plans, but the best performers are formally made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worst performers.

In a third major element of the program, technology was introduced — but only as the transmission pipeline and storage system for ideas that were already flowing. Rejecting the notion of trying to capture and encode the company’s knowledge, the virtual teams built networks to give those with problems access to those with expertise.

Although the initiative involved a major investment in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multimedia e-mail, document scanners, videoclip encoders, desktop videoconferencing and chat rooms with chalkboards, the IT function took responsibility only for installing the equipment. The project was driven by the Virtual Teamwork group and its subteams. About one-third of the Virtual Teamwork budget was allocated for coaches to help managers use the new tools to achieve their business objectives. In the end, it was the ability to change individual behavior and to shape group interaction using the powerful IT tools that allowed BP’s process change to succeed.

BP has created processes and a supportive culture to link and leverage the expertise of individual employees, embedding knowledge within the organization. Its social networking is strategic because it drives innovation, responsiveness and flexibility yet is extremely difficult for competitors to imitate.

The Bonding Process

The third major strategic task HR must undertake is to help management develop the engaging, motivating and bonding culture necessary to attract and keep talented employees. In such a culture, the potential in competent individuals and fully functioning networks can be converted into engaged, committed action. Companies must reject the notion that loyalty among today’s employees is dead and accept the challenge of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will attract and energize people so that they commit to the organization. Such advice flies in the face of conventional wisdom, which maintains loyalty has been replaced by a free-agent talent market that requires companies to convert their long-term trust-based relationships with employees to short-term contracts. Higher employee turnover, the use of temporary help and the expansion of outsourcing are all part of the envisioned future.

But if a company can outsource services or hire temporary expertise, so can its competitors. Such actions, therefore, are unlikely to lead to any competitive advantage. And if recruitment and retention are based primarily on the compensation package, the person lured by a big offer will almost certainly leave for a bigger one.

Consider SAS Institute, a billion-dollar software company based in Cary, North Carolina, which rejects the use of contract programmers and other outsourcing yet still attracts people to work without stock options and maintains turnover below 5%. How is that possible? CEO Jim Goodnight explains that what has consistently given his company a prominent place in Fortune’s survey of the best U.S. companies to work for is not stock-option programs, which he calls Ponzi schemes, but rather, competitive salaries and generous bonuses based on the company’s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s contribution.

In an industry featuring high pressure and burnout as the norm, SAS Institute has created an island of common sense. Actions and decisions are based on four simple principles: to treat everyone equally and fairly, to trust people to do a good job, to think long term and to practice bottom-up decision making. Then there are the hours. The software-industry joke may be generally apt (flex time means the company doesn’t care which 15 hours you work each day), but company policy at SAS Institute is to work 35 hours per week. Exceptional benefits also reflect the value SAS puts on its people: There is a free, on-site medical facility for employees and family members, a subsidized on-site day-care facility, a gymnasium free to employees and their families, subsidized restaurants and cafés, and so on. That environment makes employees feel like valued members of a community, not replaceable gunslingers for hire. And for these self-selected individuals, that is reason enough to want to spend their career at SAS.

But the bonding process involves more than creating a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It also must lead to an engaging and energizing feeling of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its goals. But the visioning exercises and values cards many companies have developed in response to that need often fall short. The role of the HR professional is to get senior managers to move beyond hollow, slogan-driven communications, which are more likely to lead to detached cynicism than to engaged motivation, and to help them develop a clear personal commitment to an organizational purpose. Commitment implies a strongly held set of beliefs that not only are articulated in clear human terms, but also are reflected in managers’ daily actions and decisions.

Henri Termeer, CEO of Genzyme, a biotechnology firm based in Cambridge, Massachusetts, regularly meets with people suffering from the diseases on which his researchers are working. He wants to feel angry about the pain and loss the disease is causing and passionate about the need to help. And he wants to transmit that passion to those working at Genzyme. Equally important, Termeer backs his words with actions. Because the company focuses on therapies for rare diseases, the cost of treatment is high. But the company refuses to let economics get in the way of its commitment to treat the afflicted and literally searches them out in Third World countries to provide free treatment. By acting on the company’s beliefs, Termeer stirs the passion and engages the energy of Genzyme’s employees.

The bonding process can succeed only when senior management realizes that the company is more than a mere economic entity; it is also a social institution through which people acting together can achieve meaningful purpose. In the war for talent, organizations are engaged in what one senior executive describes as “a competition for dreams.”

The Heart of Strategy

The arrival of the information-based, knowledge-intensive, service-driven economy has forced massive change on companies worldwide, most dramatically in the way they must redefin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employees. The shift in strategic imperatives over the past 25 years has necessitated new battle plans. The competition remains intense for strategic market positions and for scarce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but the war for talent has shifted the locus of the battle front. Today managers must compete not just for product markets or technical expertise, but for the hearts and minds of talented and capable people. And after persuading them to join the enterprise, management also must ensure that those valuable individuals become engaged in the organization’s ongoing learning processes and stay committed to the company’s aspirations.

It was this recognition that led McKinsey’s partners to reexamine their long-established mission “to serve clients superbly well.” After much debate, the partners decided that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world of business were significant enough for them to reconsider the core purpose of their firm. Now McKinsey has a dual mission: “to help our clients make distinctive, substantial and lasting improvements in their performance and to attract, develop, excite and retain exceptional people.” McKinsey and other organizations making the change have found new meaning in the term competitive strategy as they compete for the hearts, minds and dreams of exceptional people.

 

( from http://sloanreview.mit.edu/article/building-competitive-advantage-through-people )

빛으로 짓는 무한의 공간

빛으로 짓는 무한의 공간

“빛은 물리적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라는 조금은 접근하기 어려운 말로 안철현 작가는 자신의 설치예술을 설명합니다. 이전의 동영상들과는 달리 한국물로 차분이 설명해주는 동영상이라 좀 더 화면에 집중하실 수 있으실 듯 합니다. 흔히 우리가 핏팅룸이나 엘리베이터 안, 혹은 화장실 벽 거울과 장식장 거울 사이에서 맞딱드렸던 잠시 동안의 무한한 공간, 이를 빛으로 좀더 아름답고 환상적으로 표현하는 설치예술에 대한 설명입니다. 물질인 동시에 파장이다 라는 말로 중고등학교 시절 제 머릿속을 괴롭히던 빛이란 놈이 이들에게는 가지고 놀기 좋은 장난감인 듯 합니다.

이른바 ‘이발소 거울 효과(The barbershopmirror effect)’라는 기술로, 마주보는 거울과 형광등이라는 간단한 소재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기법입니다.

 

관련하여 안철현작가의 Media Art입니다.

빛이라는 무형의 에너지로 무한의 공간을 짓는 아티스트 안철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 시각으로 보여주는 공간을 위해 빛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하는 그는, 여기에 거울과 형광등이라는 간단한 재료를 더해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낸다.

그는 이른바 ‘이발소 거울 효과(The barbershopmirror effect)’라는 기술을 적용하는데, 여러 거울들을 서로 마주 보게, 그래서 서로에게 비치게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기법이다. 간단한 기술과 현상에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더해지면 이토록 예술적인 공간이 탄생될 수 있다.

Mirror Drawing #4 / 2011

unique plywood, mirrors, lights, 31 x 25.75 x 5.25 in

Void / 2011

cast acrylic, mirrors, lights, 230.4 x 181.6 x 31.8 cm, 3ED 1AP

한국의 독자들을 위해 소개를 부탁한다

빛을 이용해 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안철현이라고 한다.

일전에 ‘빛은 공간을 보여주기 위한 매개체’라고 말했었는데, 빛으로 공간을 창출하는 그 근간에 대해 설명해줄 수 있나. 공간을 만드는 소재로 ‘빛’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은 오감으로 공간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만드는 공간은 시각으로 보여지는 공간이다. 눈으로 보여 주기 위해선 빛이 필요했다. 나에게 빛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이다.

빛이라는 자연적이면서도 인공적일 수 있는 소재로 기술적인 작업을 한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당신의 작업에 있어 과학과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당신에게 그런 테크놀로지는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다

내 작업이 과학과 기술의 집약체인 것처럼 얘기해주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듣는 나로선 감사한 일이다. 하지만 솔직하게 말해서 나는 테크놀로지에 문외한이다. 내 작업이 그렇게 기술을 요하는 것도 아니다. 내 작업은 “거울은 반사한다.”라는 현상을 이용하고 (이것도 과학이라면 과학이다), 여러 가지 실험 (거의 놀이를 하는 듯한)을 통해서 나온 내 나름대로의 결과와 데이터를 가지고 손으로 자르고 다듬고 쪼이고 닦아서 만드는, 말하자면 원시적인 과정을 통해서 완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테크놀로지가 나에게 그렇게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Vertical lines #4 /2012
plywood, mirrors, lights, 49.5 x 37.5 x 5.5 in, 3ED 1AP

 

작업에 대한 영감은 어디에서 얻나

작업의 영감은 거의 90% 이상이 내가 경험한 시각적 충격에서 얻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여행, 일상생활, 사진, 영화, 건축물, 자연을 비롯하여 여기 저기서 무엇인가가 반복되는 이미지라든가, 재미있는 공간을 보면 눈이 딱 떠진다. 그리고 그 충격이 바로 뇌로 전달된다. 그리고 그 외의 나머지 10% 정도는 전설, 사상, 이야기 속에서 영감을 받고 있다.

작업 프로세스가 궁금하다. 당신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영감은 어떻게 현실 속에서 구현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해줄 수 있나

영감은 그저 영감일 뿐이다. 억지로 빼내려 하지 않는다. 그렇게 해서도 안 되고. 쉽고 자연스럽게 나올 수도 있고, 영원히 안 나올 수도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보통, 이미지를 간단 명료하게 하는 과정을 거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제작할 수 있는 작업인지 아닌지를 검토한 후에 실험, 제작하는 편이다.

작업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작가로서의 철학에 대한 질문이 될 것 같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너무 많다. 요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 중 몇몇은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자”, “간단하게 만들자”, “버리자”이다. 되도록이면 많이 많이 털어 버리고 최소한의 요소로 작업을 해보자는 것이 요즘 나의 과제이자 목표처럼 돼 버렸다.

당신이 만들어낸 공간은 마치 빛과 같다. 아름답고, 우리가 만들어낼 수 있고 느낄 수도 있지만 마치 환상처럼 손에 잡히진 않는다. 그러한 허상의 공간이 관객에게 주는 감정이란 건, 현실적인 공간이 주는 감정과 무엇이 다르다고 생각하나

허상이기에 더 아름답다 하겠다. 예를 들어, 여기 사과가 하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그리 놀라운 사실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만약 그림 속의 사과가 실제와 같다면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낼 수 있다. 마술의 미학이겠지. 조작된 극인지 알면서도 그 마술에 속으면서 느끼는 어떤 묘한, 기분 나쁘지 않은 흥분. 그것이 허상의 공간이 주는 매력이기도 할 것이다.

테크놀로지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더 나아가 감동을 주기 위해선 어떠한 요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사랑

지금 진행 중인 작업이나 장르를 떠나 앞으로 해보고 싶은 작업이 있다면 무엇인가

건축

Vertical lines #3 / 2011

plywood, mirrors, lights, 61.75 x 77.5 x 6.5 in, 3ED 1AP

Forked Series #22 / 2012

yellow color plywood, mirrors, light, 21 x 21 x 4.5 in, 3ED 1AP

Forked Series #23 / 2012

pink-ish color plywood, mirrors, light, 21 x 21 x 4.5 in, 3ED 1AP

Mirror Drawing #2 / 2011

plywood, mirrors, lights, 45.5 x 45.5 x 5.5 in

안철현 미국 메릴랜드의 볼티모어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 안철현은, 2002년부터 볼티모어의 C. Grimaldis 갤러리, 2012년부터 런던의 Hada Contemporary가 대표하고 있는 작가이다. 국제적으로 전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거울 기법을 다양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기하학적 무한대의 세계들을 담은 <Forked Series>를 계속 진행하는 한편, 다양한 소재들을 추가해 작품의 질감을 확장하고 있다.

www.cgrimaldisgallery.com

www.hadacontemporary.com

에디터 유인경, 자료협조 ㈜카텔 크리에이티브

www.thecreatorsproject.com/ko-kr

www.facebook.com/thecreatorsproject

@creators_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