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분 [ 海盆, ocean basin, sea basin ]

지구과학사전 해저지형의 일종으로 원형 또는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형을 나타내는 해저의 요지(凹地), 분지(盆地)를 말하며 해저분지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북대서양 해분, 북아메리카 해분, 중앙 인도양 해분, 동해 해분 등이 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에서는 중앙 해령과 대륙 연변부의 사이에 있는 수심 5000 m 이상의 심해저가 해분이라 불린다. 이들의 해분저에는 심해 평원, 심해 해구, 해산(海山), 해산군 및 해팽(海膨)등의 지형이 발달한다. 해저의 지자기 이상과 심해 굴삭의 결과에 의하면, 2000만 년 전 해저의 수심은 약 4000 m, 5000만 년 전의 수심은 약 5000 m, 1억 년 전의 수심은 약 6000 m로서, 오랜 연대의 해저 기반을 이룬 해저일수록 수심이 깊게 나타난다. 북서 태평양 해분 등은 수심이 깊고 오래된 해분의 전형적인 보기이다. 동해, 필리핀해 등 도호와 대륙 사이에 둘러싸인 연해도 크고 작은 여러 가지의 해분이 분포하는데, 그들의 형...
More

온난화 가속화, 북극곰 이어 황제펭귄도 위협

웨들해에 접한 남극 드로닝모드랜드의 아트카만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무리의 모습. 온몸이 모두 회색인 펭귄들은 아직 덜 자란 개체들이다. 하네스 그로베,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제공 [지구와 환경] 기후변화 폐해 확산 점점 작아지는 바다얼음 위에 위태롭게 서있는 북극곰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후변화의 위협을 상징하는 대표적 이미지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반대편의 남극 생태계에 가해지는 기후변화의 위협은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갈수록 가속화하는 온난화의 위협 앞에 남극 생태계만 예외일 수는 없다. 최근 북극의 북극곰에 해당하는 남극의 황제펭귄이 머지않아 북극곰과 비슷한 처지에 놓일 것임을 경고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귀 주위에서 짙게 시작돼 목과 가슴까지 엷게 물들인 황금빛 깃털과 평균 키 1.2m·몸무게 35㎏의 당당한 몸체가 특징인 황제펭귄은 다큐멘터리나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자주 소개돼 남극 펭귄 가운데서도 대중한테 가장 친숙...
More

펭귄은 추운 극지방에서만 산다?

[펭귄에 관한 오해와 진실] 웨들해에 접한 남극 드로닝모드랜드의 아트카만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무리의 모습. 온몸이 모두 회색인 펭귄들은 아직 덜 자란 개체들이다. 하네스 그로베,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제공 펭귄은 일생의 반을 물속에서 보내는 새다. 가장 큰 종은 성체의 평균 키가 1m가 넘는 황제펭귄이고, 가장 작은 종은 키가 40㎝ 안팎인 블루펭귄이다. 이들은 물속에서 활동하기 쉽도록 지느러미와 같은 형태로 진화한 날개로 하늘을 날듯이 물속을 헤엄치며 물고기·오징어·크릴 따위 수중 생물을 잡아먹고 산다. 펭귄이 남극과 같은 극지의 추운 기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건 공기층으로 채워져 보온재 구실을 하는 깃털과 같은 신체 구조뿐만 아니라 군집생활로 서로의 체온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킨 덕분이라는 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남극에서 겨울철 찬바람이 몰아칠 때 펭귄들은 종종 바람을 등지고 무리를 지은 뒤 가...
More

우크라이나 ‘돌고래 일병 구하기’

  해군 정찰·수색용 돌고래 특공대 크림반도 병합이후 러시아에 편입 우크라 반환 요구에도 러 “못준다” “전투 돌고래 대원들을 돌려달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빼앗긴 크림반도에서 양성 중이던 전투 돌고래 부대원들의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러시아는 일축하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 세바스토폴의 한 해군 기지에서 전투 돌고래를 ‘비밀 병기’로 훈련시켜왔다. 하지만 러시아는 지난 3월 크림반도 합병 뒤 이들을 돌려주지 않고 자국 해군에 편입시켰다. 이들은 지금 세바스토폴 인근의 한 수족관에 머물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6일 보도했다.   우크라이나에선 특히 크림반도에 인접한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 헤니체스크시가 돌고래 부대 반환 운동의 선봉에 서 있다. 헤니체스크시는 지난달 돌고래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 24m, 깊이 5m짜리 대형 수족관까지 만들어 놓고 돌고래 대원들의...
More

[물리산책] 해저도시 건설 – 우리는 바닷속에서 살 수 있을까?

    글김민수 | 과학동아 기자과학전문 월간지 과학동아의 기자. 인문학, 역사, 환경, 인류의 발자취 속에 담긴 과학 및 기술의 발전과 우리 생활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관심이 많다. 자료제공과학동아 http://science.dongascience.com  일러스트유한진 사진우즈홀해양연구소, JWFishers
More